景行錄(경행록)云 結怨於人(결원어인)謂之種禍(위지종화)捨善不爲(사선불위)謂之自賊(위지자적)이라.

  경행록에 이르기를 남에게 원수를 맺는 것은 화를 심는 것이요 착함을 버리고 하지 않는 것은 스스로 해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若聽一面說(약청일면설)이면 便見相離別(변견상이별)이니라.

  만약 한쪽 말만 들으면 바로 서로 헤어짐을 보게 될 것이다.

 

飽煖(포난)思淫慾(사음욕)하고 飢寒(기한)發道心(발도심)이니라.

  배부르고 따뜻한 곳에는 음탕한 욕망이 생각나고 춥고 배고픈 곳에는 도를 깨우치는 마음이 일어난다.

 

疎廣(소광)曰 賢人多財則損其志(현인다재즉손기지)하고 愚人多財則益其過(우인다재즉익기과)니라.

  소광이 말하기를 어진이가 재물이 많으면 그 뜻을 상하고 어리석은 사람이 재물이 많으면 그 허물이 늘어나느니라.” 하였다. * 疎廣 : 前漢 宣帝 때 사람

 

人貧智短(인빈지단)하고 福至心靈(복지심영)이니라.

  사람이 가난하면 지혜가 짧고 복이 생기면 생각도 영민해진다.

 

不經一事(불경일사)不張一智(불장일지)니라.

  하나의 일을 경험하지 않으면 하나의 지혜가 자라지 않는다.

 

是非終日有(시비종일유)라도 不聽自然無(불청자연무)니라.

  시비가 종일토록 있을지라도 듣지 않으면 저절로 없어지느니라.

 

來說是非者(내설시비자)便是是非人(변시시비인)이니라.

  와서 시비를 말하는 자는 바로 시비하는 사람이니라.

 

擊壤詩(격양시)云 平生(평생)不作皺眉事(부작추미사)하면 世上(세상)應無切齒人(응무절치인)이니 大名(대명)豈有鐫頑石(기유전완석)路上行人(노상행인)口勝碑(구승비)니라.

  격양시에 이르기를 평생에 눈썹 찡그릴 일을 하지 않으면 세상에 이를 갈 사람이 없는 것이니 큰 이름을 어찌 무딘 돌에 새기려 하는가? 길을 지나는 사람이 말하는 것이 비석보다 낫다.” 하였다.

 

有麝自然香(유사자연향)이니 何必當風立(하필당풍입).

  사향을 지녔으면 자연스럽게 향이 날 것인데 어찌 바람이 있어야만 하겠는가?

 

有福莫享盡(유복박향진)하라 福盡身貧窮(복진신빈궁)이요 有勢莫使盡(유세막사진)하라 勢盡寃相逢(세진원상봉)이니라 福兮常自惜(복혜상자석)하고 勢兮常自恭(세혜상자공)하라 人生驕與侈(인생교여치)有始多無終(유시다무종)이니라.

  복이 있다고 해도 다 누리지 말라. 복이 다하면 몸이 빈궁해질 것이요 권세가 있어도 함부로 사용하지 말라 세가 다하면 원수와 만나게 될 것이다. 복은 항상 아끼고 세는 항상 공손히 하라. 인생에 교만과 사치는 시작은 있으나 대부분 끝은 없는 것이니라.

 

王參政四留銘(왕참정사유명)曰 留有餘不盡之巧(유유여부진지교)하야 以還造物(이환조물)하고 留有餘不盡之祿(유유    여부진지록)하야 以還朝廷(이환조정)하고 留有餘不盡之財(유유여부진지재)하야 以還百姓(이환백성)하고 留有餘不盡之福(유유여부진지복)하야 以還子孫(이환자손)이니라.  * 王參政 : , 子明. 北宋眞宗 때의 宰相.

  왕참정이 사유명에 이르기를 재주를 다 쓰지 말고 남겨 조물주에게 돌려주고 녹봉을 다 쓰지 말고 남겨 조정에 돌려주며 재물을 다 쓰지 말고 남겨 백성들에게 돌려주고 복을 다쓰지 말고 남겨 놓아 자손에게 돌려줄지니라.” 하였다.

 

'동양고전 >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5. 省心篇(성심편)(5)  (0) 2023.06.29
11-4. 省心篇(성심편)(4)  (0) 2023.06.28
11-2. 省心篇(성심편)(2)  (0) 2023.06.26
11-1. 省心篇(성심편) (1)  (0) 2023.06.24
10. 訓子篇(훈자편)  (0) 2023.06.2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