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景行錄(경행록)에 云 寶貨(보화)는 用之有盡(용지유진)이요 忠孝(충효)는 享之無窮(향지무궁)이니라.
경행록에 이르기를 “보화는 그것을 씀에 다함이 있고 충효는 그것을 누림에 다함이 없느니라.” 하였다.
○ 家和貧也好(가화빈야호)어니와 不義富如何(불의부여하)오 但存一子孝(단존일자효)면 何用子孫多(하용자손다)리오.
집안이 화목하면 가난해도 좋거니와 의롭지 않다면 부유한들 어쩌리오. 다만 한 자식이라도 효도를 한다면 자손이 많은들 무엇하리오.
○ 父不憂心因子孝(부불우심인자효)요 夫無煩惱是妻賢(부무번뇌시처현)이라 言多語失皆因酒(언다어실개인주)요 義斷親疏只爲錢(의단친소지위전)이라.
아버지가 근심하지 않음은 자식이 효도하기 때문이요, 남편이 번뇌가 없음은 아내가 어질기 때문이다. 말이 많아 말에 실수함은 술 때문이요, 의가 끊어지고 친함이 멀어지는 것은 오직 돈 때문이니라.
○ 旣取非常樂(기취비상락)이어든 須防不測憂(수방불측우)니라.
이미 대단한 즐거움을 취했거든 모름지기 헤아릴 수 없는 근심을 대비해야 하느니라.
○ 得寵思辱(득총사욕)하고 居安慮危(거안려위)니라.
사랑을 받거든 욕됨을 생각하고 편안히 거하거든 위태함을 생각할지니라.
○ 榮輕辱淺(영경욕천)하고 利重害深(이중해심)이니라.
영화가 가벼우면 욕됨이 얕고 이로움이 무거우면 다치는 것도 깊다.
○ 甚愛必甚費(심애필심비)요 甚譽必甚毁(심예필심훼)요 甚喜必甚憂(심희필심우)요 甚贓必甚亡(심장필심망)이라.
깊이 사랑하면 반드시 깊게 써야 하고 명예가 깊으면 헐뜯음도 심하고 기쁨이 심하면 근심이 심하며 뇌물을 많이 탐하면 크게 망할 것이다.
○ 子曰(자왈) 不觀高崖(불관고애)면 何以知顚墜之患(하이지전추지환)이며 不臨深泉(불임신천)이면 何以知沒溺之患(하이지몰익지환)이며 不觀巨海(불관거해)면 何以知風波之患(하이지풍파지환)이리오.
공자 가라사대 “높은 낭떠러지를 보지 않고 어찌 굴러 떨어지는 어려움을 알 것이며 깊은 샘에 가보지 않고 어찌 빠져 죽을 어려움을 알 것이고 큰 바다를 보지 않고 어찌 세찬 바람과 거친 파도의 어려움을 알 것이리오.” 하셨다.
○ 欲知未來(욕지미래)인대 先察已然(선찰이연)이니라.
미래를 알려거든 먼저 지나간 것을 살펴보라.
○ 子曰(자왈) 明鏡(명경)은 所以察形(소이찰형)이오 往者(왕자)는 所以知今(소이지금)이니라.
공자 가라사대 “밝은 거울은 얼굴을 살필 수 있고 지난 일은 현재를 알 수 있게 한다.” 하셨다.
○ 過去事(과거사)는 如明鏡(여명경)이요 未來事(미래사)는 暗似漆(암사칠)이니라.
지나간 일은 밝은 거울과 같고 앞으로의 일은 어둡기가 칠흑 같으니라.
'동양고전 >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3. 省心篇(성심편)(3) (0) | 2023.06.27 |
---|---|
11-2. 省心篇(성심편)(2) (0) | 2023.06.26 |
10. 訓子篇(훈자편) (0) | 2023.06.22 |
9. 勸學篇(권학편) (0) | 2023.06.21 |
8. 戒性篇(계성편) (0) | 2023.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