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子曰 立身有義(입신유의)하니 而孝爲本(이효위본)이요 喪祀有禮(상사유례)하니 而哀爲本(이애위본)이오 戰陣有列(전진유열)하니 而勇爲本(이용위본)이요 治政有理(치정유리)하니 而農爲本(이농위본)이요 居國有道(거국유도)하니 而嗣爲本(이사위본)이오 生財有時(생재유시)하니 而力爲本(이력위본)이니라.
공자가 말씀하시길 “입신함에 의가 있으니 효를 근본으로 삼음이요 상사에 예가 있으니 슬퍼함이 그 근본이요 싸움터에 진열을 정비함에서는 용맹이 근본이요 나라를 다스리는 데는 이치가 있으니 농사가 그 근본이요 나라를 지키는데 도가 있으니 후사가 그 근본이요 재물을 생산함에는 때가 있으니 노력함이 근본이니라.
○ 景行錄(경행록)에 云 爲政之要(위정지요)는 曰公與淸(왈공여청)이요 成家之道(성가지도)는 曰儉與勤(왈검여근)이라.
경행록에 이르기를 ”정사를 함에 중요한 것은 공정과 청렴을 말하는 것이고 집안을 일으키는 도는 검소함과 부지런함이라“ 하였다.
○ 讀書(독서)는 起家之本(기가지본)이요 順理(순리)는 保家之本(보가지본)이요 勤儉(근검)은 治家之本(치가지본)이요 和順(화순)은 齊家之本(제가지본)이니라.
공부하는 것은 집안을 일으키는 근본이요 이치를 따름은 집안을 지키는 근본이요 근검은 집안을 다스리는 근본이요 화목한 것은 집안을 정연하게 하는 근본이다.
○ 孔子三計圖(공자삼계도)에 云 一生之計(일생지계)는 在於幼(재어유)하고 一年之計(일년지계)는 在於春(재어춘)하고 一日之計(일일지계)는 在於寅(재어인)이니 幼而不學(유이불학)이면 老無所知(노무소지)요 春若不耕(춘약불경)이면 秋無所望(추무소망)이요 寅若不起(인약불기)면 日無所辦(일무소판)이니라.
공자삼계도에 말하기를 ”일생의 계획은 어릴 때 있고 한 해의 계획은 봄에 있으며 하루의 계획은 새벽에 있다“고 하였으니 어려서 공부하지 않으면 나이 들어 아는 바가 없고 봄에 밭을 갈지 않으면 가을에 바랄 것이 없으며 새벽에 일어나지 않으면 그날 할 일이 없는 것이다.
○ 性理書(성리서)에 云 五敎之目(오교지목)은 父子有親(부자유친)하며 君臣有義(군신유의)하며 夫婦有別(부부유별)하며 長幼有序(장유유서)하며 朋友有信(붕우유신)이니라.
성리서에 이르기를 다섯가지 가르침이 있는데 ”아비와 자식간에는 친함이 있어야 하고 임금과 신하사이에는 의가 있어야 하고 부부간에는 분별이 있어야 하며 어른과 어린사람 사이에는 차례가 있어야 하고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어야 한다“ 하였다.
○ 三綱(삼강)은 君爲臣綱(군위신강), 父爲子綱(부위자강), 夫爲婦綱(부위부강) 이니라.
삼강은 임금은 신하의 본이 되고 아비는 자식의 본이 되며 지아비는 아내의 본이 되는 것이니라.
○ 王蠋(왕촉)이 曰 忠臣(충신)은 不事二君(불사이군)이요 烈女(열녀)는 不更二夫(불경이부)니라.
왕촉이 말하기를 ”충신은 두 임금을 섬기지 않고 열녀는 두 지아비를 섬기지 않는다“하였다.
* 王蠋 : 제(齊)나라 사람으로 연(燕)나라 장수 악의(樂毅)가 제나라를 쳐들어 왔을 때 왕촉(王蠋)이 어질다는 소문을 듣고 연나라 입조(入朝)를 권유했으나 끝내 사양한 인물. * 사기(史記) 전단열전(田單列傳).
○ 忠子曰(충자왈) 治官(치관)엔 莫若平(막약평)이요 臨財(임재)엔 莫若廉(막약렴)이니라.
충자가 말하길 ”벼슬을 다스림에 있어 공평함만 같은 것이 없고 재물에 임함에는 청렴함만 같지 못하다“고 하였다.
'동양고전 >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3. 立敎篇(입교편)(3) (0) | 2023.07.06 |
---|---|
12-2. 立敎篇(입교편)(2) (0) | 2023.07.05 |
11-9. 省心篇(성심편)(9) (0) | 2023.07.03 |
11-8. 省心篇(성심편)(8) (0) | 2023.07.02 |
11-7. 省心篇(성심편)(7) (0) | 2023.07.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