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謂 公冶長 可妻也 雖在縲絏之中 非罪也 以其子妻之 (자위 공야장 가처야 수재누설지중 비죄야 이기자처지)

   子謂 南容 邦有道 不廢 邦無道 免於刑戮 以其兄之子妻之 (자위 남용 방유도 불폐 방무도 면어형륙 이기형지자처지)

   * 公冶長 : 공자의 제자, 齊나라 사람  * 南容 : 공자의 제자, 孟懿子의 형

   공자가 공야장에 대해 말하길 “(딸을) 시집 보낼만하다. 비록 포승에 묶여 있으나 그의 죄가 아니다.” 하시고 그의 딸을 그에게 시집보내었다. 공자가 남용에 대해 말씀하시길 나라에 도가 있으면 버려지지 않고 나라에 도가 없으면 형벌을 받지 않을 사람이다.” 하시고 형의 딸을 그에게 처로 보냈다.

 

子謂 子賤 君子哉若人 魯無君子者 斯焉取斯  (자위 자천 군자재약인 노무군자자 사언취사)

   * 子賤 : 공자의 제자

   공자가 자천에 대해서 말하길 군자답구나 이 사람이여. 노나라에 군자가 없었다면 이 사람이 어디에서 이러한 덕을 취했겠는가?”

 

子貢問曰 賜也何如 子曰 女器也 曰何器也 曰瑚璉(자공문왈 사야하여 자왈 여기야 왈하기야 왈호련야)

   * 瑚璉 : 종묘제사에 피와 기장을 담은 祭器, 瑚 商이라 하였고 는 보궤(簠簋)라 하였다.

   자공이 ()는 어떻습니까?” 묻자, 공자 말하길 너는 그릇이다.” “어떤 그릇입니까?” (자공이) 물으니, (공자가) “호련이다.” 하셨다.

 

或曰 雍也 仁而不佞 子曰 焉用佞 禦人以口給 屢憎於人 不知其仁 焉用佞

  (혹왈 옹야 인이불영 자왈 언용영 어인이구급 누증어인 부지기인 언용영

     * : 공자의 제자 염옹(冉雍)

   어떤이가 말하길 옹은 어지나 말재주가 없습니다. 공자가 말씀하시길 말재주를 어디에다 쓰겠는가? 구변으로 남의 말을 막아서 자주 남에게 미움을 받으니 그가 어진지는 모르겠으나 말재주를 어디에다 쓰겠는가?”

 

子使漆彫開仕 對曰 吾斯之未能信 子說(자사칠조개사 대왈 오사지미능신 자열)

   * 漆彫開 : 공자의 제자, 子若

   공자께서 칠조개에게 벼슬을 하도록 권하자 그가 대답하길 저는 이것(벼슬)에 대해 아직 자신을 할 수 없습니다.” 하니 공자가 기뻐하였다.

 

子曰 道不行 乘桴 浮于海 從我者 其由與(자왈 도불행 승부 부우해 종아자 기유여)

   子路聞之 喜 子曰 由也 好勇過我 無所取材(자로문지 희 자왈 유야 호용과아 무소취재)

   공자가 말하길 “(나의) 도가 행해지지 않아서 뗏목을 타고 바다에 가려하니 나를 따라올 사람은 유(子路)일 것이다.”하였다. 자로가 이것을 듣고 기뻐하자 공자 말하길 유는 용맹함이 나보다 나으나 재량에 취할 바가 없구나.” 하였다.

 

孟武伯問 子路仁乎 子曰 不知也 又問 子曰 由也 千乘之國 可使治其賦也 不知其仁也

   (맹무백문 자로인호 자왈 부지야 우문 자왈 유야 천승지국 가사치기부야 부지기인야)

   求也 何知 子曰 求也 千室之邑 百乘之家 可使爲之宰也 不知其仁也

   (구야 하지 자왈 구야 천실지읍 백승지가 가사위지재야 부지기인야)

   赤也 何知 子曰 赤也 束對立於朝 可使與賓客言也 不知其仁也

   (적야 하지 자왈 적야 속대립어조 가사여빈객언야 부지기인야)

   * 孟武伯 : 맹의자(孟懿子)의 아들. 이름은 체(), ()는 시호이고 ()은 항렬

   * : 나라 사람, 성이 염(), 자가 자유(子有)이며 ()는 그의 이름. 공자의 제자

   * : 나라 사람, 성이 공서(公西), 자가 자화(子華)이며 ()은 그의 이름. 공자의 제자

   맹무백이 자로는 어집니까?” 하고 묻자, 공자 말하길 모르겠소하였다. 다시 묻자 공자는 (子路)는 전차 천 대를 가진 나라의 군사를 다스리게 할 수는 있으나 그가 어진지는 모르겠소하였다. “구는 어떻습니까?” 하자 공자는 구는 천호() 되는 읍과 전차 백 대를 가진 경대부(卿大夫) 집안의 가재 노릇을 하게 할 수는 있으나 그가 어진지는 모르겠소라고 하셨다. “적은 어떻습니까?” 하자 공자는 적은 관복을 입고 조정에 서게 되면 빈객과 이야기하게 할 수는 있으나 그가 어진지는 모르겠소라고 하였다.

 

子謂子貢曰 女與回也孰愈(자위자공왈 여여회야숙유)

   對曰 賜也 何敢望回 回也 聞一以知十 賜也 聞一以知二 (대왈 사야 하감망회 회야 문일이지십 사야 문일이지이)

   子曰 弗如也 吾與女 弗如也(자왈 불여야 오여녀 불여야)

   공자가 자공에게 일러 가로되 너와 안회는 누가 더 낫냐?” 대답하기를 ()가 어찌 안회를 바라겠습니까?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을 하는데 저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알 뿐입니다.” 공자 말하길 (안회)만 못하다. 나와 너는 그만 못하다.” 하였다.

 

宰予晝寢 子曰 朽木 不可雕也 糞土之墻 不可杇也 於予與何誅

   (재여주침 자왈 후목 불가조야 분토지장 불가오야 어여여하주)

   子曰 始吾於人也 聽其言而信其行 今吾於人也 聽其言而觀其行 於予與改是

   (자왈 시오어인야 청기언이신기행 금오어인야 청기언이관기행 어여여개시)

   재여가 낮잠을 자자 공자가 말하였다. “썩은 나무는 조각할 수 없고 거름흙으로 쌓은 담장은 흙손질을 할 수가 없다. 내가 어찌 재여를 꾸짖을 수 있을 것인가?”

   공자가 말하길 내가 처음에 남에 대하여 그의 말을 듣고 그의 행실을 그대로 믿었는데 지금 나는 남에 대하여 그의 말을 듣고 다시 그의 행실을 살펴보니 나는 재여로부터 이것을 고치게 되었다.”

 

子曰 吾未見剛者 或對曰 申棖 子曰 棖也慾 焉得剛 (자왈 오미견강자 혹대왈 신정 자왈 정야욕 언득강)

   * 申棖(신정) : 공자의 제자

   공자가 말하길 나는 아직 (마음이) 굳센 사람을 보지 못했다.” 어떤이가 말하길 신정이 있습니다.” 공자 말하길 신정은 욕심이 많으니 어찌 굳셀 수 있겠는가?”

 

子貢曰 我不欲人之加諸我也 吾亦欲無加諸人 子曰 賜也 非爾所及也

   (자공왈 아불욕인지가저아야 오역욕무가저인 자왈 사야 비이소급야)

   자공이 말하길 저는 남이 저에게 더하기(간섭)를 원하지 않는 것처럼 저 또한 남에게 더하기를 하고 싶지 않습니다.” 공자 말하길 자공아, 네가 미칠 바가 아니다.”

 

子貢曰 夫子之文章 可得而聞也 夫子之言性與天道 不可得而聞也

   (자공왈 부자지문장 가득이문야 부자지언성여천도 불가득이문야)

   자공이 말하길 공자의 문장은 얻어들을 수 있으나 공자의 (인간의 타고난 성품)과 천도(하늘과 자연의 이치)를 말씀하심은 얻어들을 수가 없다.”

 

子路 有聞 未之能行 惟恐有聞 (자로 유문 미지능행 유공유문)

   자로는 가르침을 듣고 아직 그것을 실행하지 못했는데 다른 가르침을 들을까 두려워했다.

 

子貢問曰 孔文子 何以謂之文也 子曰 敏而好學 不恥下問 是以謂之文也

   (자공문왈 공문자 하이위지문야 자왈 민이호학 불치하문 시이위지문야)

   * 孔文子 : 나라 대부 孔圉(공어)

   자공이 여쭈었다. “공문자를 어째서 이라 시호 하였습니까?” 공자 말하길 명민하면서도 배우기를 좋아하였고 아랫사람에게 묻기를 부끄러워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로 이라 시호한 것이다.”

 

子謂子産 有君子之道四焉 其行己也恭 其事上也敬 其養民也惠 其使民也義

   (자위자산 유군자지도사언 기행기야공 기사상야경 기양민야혜 기사민야의)

   * 子産 : 나라 대부 公孫僑(공손교)

   공자가 자산에 대해 말하길 군자의 도에는 네 가지가 있으니, 그 몸가짐은 공손하고, 윗사람을 섬김에 공경하고, 백성을 살핌에 은혜롭고, 백성을 부림에 의롭다.”

 

子曰 晏平仲 善與人交 久而敬之 (자왈 안평중 선여인교 구이경지)

   * 晏平仲 : 나라 대부 晏嬰(안영)

   공자 말하길 안평중은 다른 사람과 교제를 잘하였. 오래될수록 그를 존경하였다.”

 

子曰 臧文仲 居蔡 山節 藻梲 何如其知也 (자왈 장문중 거채 산절 조절 하여기지야)

   * 臧文仲 : 나라 대부 臧孫氏 이름은 (),

   * : 占卜을 볼 때 지방에서 나오는 큰 거북을 사용하여 큰 거북을 라고 불렀다.

   공자말하길 장문중이 큰 거북을 보관하는데 보관하는 집 기둥머리에 산을 새기고 대들보에 수초인 마름 무늬를 그렸으니 어찌 지혜롭다고 하겠는가?”

 

子張問曰 令尹子文 三仕爲令尹 無喜色 三已之 無溫色 舊令尹之政 必以告新令尹 何如 子曰 忠矣 曰 仁矣乎 曰 未知 焉得仁  (자장문왈 영윤자문 삼사위영윤 무희색 삼이지 무온색 구영윤지정 필이고신영윤 하여 자왈 충의 왈 인의호 왈 미지 언득인)

   자장이 묻기를 영윤(벼슬이름) 자문이 세 번 벼슬하여 영윤이 되었으나 기뻐하는 기색이 없었고 세 번 벼슬을 그만두었으나 서운해하는 기색이 없었습니다. 과거 영윤의 일을 반드시 새로운 영윤에게 알려주었습니다. 어떻습니까?” 공자 말하길 충성스럽다.” (자장이) “어질다고 하겠습니까?” 묻자 (공자가) 답하길 알지 못한다. 어찌 어질다고 할 수 있겠는가?”

   崔子弑齊君 陳文子有馬十乘 棄而違之 至於他邦 則曰 猶吾大夫崔子也 違之 之一邦 則又曰 猶吾大夫崔子違之 何如 子曰 淸矣 曰 仁矣乎 曰 未知 焉得仁 (최자시제군 진문자유마십승 기이위지 지어타방 즉왈 유오대부최자야 위지 지일방 즉우왈 유오대부최자야 위지 하여 자왈 청의 왈 인의호 왈 미지 언득인)

   * 崔子 : 나라 대부 이름은 (), 陳文子 : 나라 대부

   최자가 제나라 군주(莊公)를 시해했을 때 진문자는 10(40)의 말이 있음에도 이것을 버리고 그곳을 떠났는데 그곳에 이르러서도 여기도 우리나라의 대부 최자 같은 사람이 있구나하고 그곳을 떠났고 다른 곳에 가서도 또 말하길 우리나라 대부 최자 같은 사람이 있구나하고 그곳을 떠났습니다. 어떻습니까?” 하자 공자는깨끗하구나하였다. “어질다고 할 수 있겠습니까?” 묻자 모른다. 어찌 인을 얻었다고 할 수 있겠느냐?” 하였다.

 

季文子 三思而後行 子聞之曰 再斯可矣 (계문자 삼사이후행 자문지왈 재사가의)

   * 季文子 : 나라 대부

   계문자는 세 번 생각하고 행하였는데 공자가 그것을 들으시고 두 번이면 된다.” 하였다.

 

子曰 甯武子 邦有道則知 邦無道則愚 其知可及也 其愚不可及也

   (자왈 영무자 방유도즉지 방무도즉우 기지가급야 기우불가급야)

   * 甯武子 : 나라 대부

   공자 말하길 영무자는 나라에 도가 있을 때에는 지혜로웠고 나라에 도가 없을 때에는 어리석었으니 그 지혜는 미칠 수 있으나 그 어리석음을 미칠 수 없다.”

 

子在陳 曰 歸與歸與 吾黨之小子狂簡 斐然成章 不知所以裁之

   (자재진 왈 위여위여 오당지소자광간 비연성장 부지소이재지)

   공자가 나라에 있을 때 말하길 돌아가야겠다. 돌아가야겠다. 오당의 소자들(노나라 문인들)이 포부가 크고 대범하나 일에는 치밀하지 못하여 문채가 볼만하나 재단할 줄을 모르는구나하였다.

 

子曰 伯夷叔齊 不念舊惡 怨是用希 (자왈 백이숙제 불념구악 원시용희)

   * 伯夷, 叔齊 : 孤竹國 임금의 두 아들

  공자가 말하길 백이와 숙제는 (사람들이) 옛날에 저지른 악행을 생각하지 않았다. 그래서 원망하는 이가 드물었다.”

 

子曰 孰謂微生高直 或乞醯焉 乞諸其隣而與之 (자왈 숙위미생고직 혹걸혜언 걸저기린이여지)

   * 微生高 : 나라 사람, 성이 微生 이름이

  공자가 말하길 누가 미생고를 정직하다고 하는가, 어떤 사람이 식초를 빌리자 그의 이웃집에서 얻어서 주는구나

 

子曰 巧言令色足恭 左丘明 恥之 丘亦恥之 匿怨而友其人 左丘明 恥之 丘亦恥之

  (자왈 교언영색주공 좌구명 치지 구역치지 닉원이우기인 좌구명 치지 구역치지)

   * : 지나칠 주

  공자 말하길 남이 듣기 좋은 말과 아첨하는 낯빛, 지나친 공손함을 좌구명이 부끄러워하였는데 나 또한 이것을 부끄러워한다. 원망을 감추고 그 사람과 친한척하는 것을 좌구명이 부끄러워하였는데 나 또한 이것을 부끄러워한다.”

 

顏淵 季路侍 子曰 盍各言爾志 (안연 계로시 자왈 합각언이지)

  子路曰 願車馬衣輕裘 與朋友共 敝之而無憾 (자로왈 원차마의경구 여붕우공 폐지이무감)

  顏淵曰 願無伐善 無施勞 (안연왈 원무벌선 무시로)

  子路曰 願聞子之志 子曰 老者安之 朋友信之 少者懷之 (자로왈 원문자지지 자왈 노자안지 붕우신지 소자회지

  안연과 자로가 공자를 모시고 있었는데 공자가 어찌 각자 너의 뜻을 말하지 않는가?” 하였다. 자로는 “(외출용)거마와 가벼운 갖옷을 친구들과 같이 쓰다가 해지더라도 아깝지 않을 교제를 하고 싶습니다.” 안연은 잘하는 것을 자랑하지 않고 공로를 과장하지 않고자 합니다.” 하였다. 자로가 선생님의 뜻을 듣고자 합니다.” 하자, 공자 말하길 늙은이를 편안하게 해주고 친구를 미덥게 해주고 젊은이를 감싸주는 것이다.” 하였다.

 

子曰 已矣乎 吾未見能見其過而 內自訟者也 (자왈 이의호 오미견능견기과이 내자송자야)

  공자가 말하길 그만 되었다. 나는 아직 자신 허물을 보고 마음으로 반성하는 자를 보지 못했다.”

 

子曰 十室之邑 必有忠信如丘者焉 不如丘之好學也 (자왈 십실지읍 필유충신여구자언 불여구지호학야)

  공자 말하길 “10가구의 작은 마을에도 반드시 나()처럼 충성스럽고 믿음직한 사람이 있을 것이나 나처럼 공부하기 좋아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동양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7. 述而篇(술이편)  (4) 2023.11.08
6. 雍也篇(옹야편)  (0) 2023.08.25
4. 里仁篇(이인편)  (0) 2023.08.06
3. 八佾篇(팔일편)  (0) 2023.08.04
2. 爲政篇(위정편)  (0) 2023.07.31

동물등록을 하지 않은 반려견에 대한 자진신고 안내입니다.

9.30까지 동물등록하시면 과태료가 면제 됩니다. 

자진신고 기간이 끝나면 집중단속이 시작됩니다. 

아직까지 동물등록하지 않으신 반려견주는 이 기간에 동물등록 하세요.

子曰 里仁爲美 擇不處仁 焉得知(자왈 이인위미 택불처인 언득지)

  공자왈 인심 좋은 마을에서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인심 좋은 곳을 찾아 살지 않으면 어찌 지혜롭다고 하리오?” 하였다.

 

子曰 不仁者 不可以久處約 不可以長處樂 仁者安仁 知者利仁

  (자왈 불인자 불가이구처약 불가이장처락 인자안인 지자리인)

  공자왈 어질지 못한 사람은 오랫동안 곤궁에 처할 수 없고 오랫동안 즐거움에 처할 수 없다. 어진 사람은 인을 편안하게 여겨서 그것을 실행하고 지혜로운 사람은 인을 이롭게 여겨서 그것을 실행한다.” (어진사람만이 安貧樂道 할 수 있다)

 

子曰 有仁者 能好人 能惡人(자왈 유인자 능호인 능악인)

  공자왈 어진 사람만이 (좋은) 사람을 좋아하고 (나쁜) 사람을 미워할 수 있다.” 하였다.

 

子曰 苟志於仁矣 無惡也(자왈 구지어인의 무악야)

  공자가 말씀하시길 진실로 어짐에 뜻을 둔다면 악한 일이 없을 것이다.” 하였다.

 

子曰 富與貴 是人之所欲也 不以其道得之 不處也 (자왈 부여귀 시인지소욕야 불이기도득지 불처야)

  貧與賤 是人之所惡也 不以其道得之 不去也 (빈여천 시인지소오야 불이기도득지 불거야)

  君子去仁 惡乎成名 君子無終 食之間違仁 造次必於是 顚沛必於是

  (군자거인 오호성명 군자무종 식지간위인 조차필어시 전패필어시)

  공자가 말씀하였다. “부귀는 누구나 바라는 것이나 정당하게 얻은 것이아니면 머물지 않으며 빈천은 사람들이 싫어하는 것이나 정상적으로 얻지 않았더라도 버리지 않는다. 군자가 어짐을 없애면 어찌 (군자라는) 이름을 이룰 수 있겠는가? 군자는 밥 먹는 동안에도 어짐을 벗어남이 없으니 구차한 때에도 반드시 어짐이 있고 위급한 상황에서도 반드시 어짐이 있어야 한다.”

 

子曰 我未見好仁者 惡不仁者 好仁者 無以尙之 惡不仁者 其爲仁矣 不使不仁者 加乎其身

  (자왈 아미견호인자 오불인자 호인자 무이상지 오불인자 기위인의 불사불인자 가호기신)

  有能一日 用其力於仁矣乎 我未見力不足者 蓋有之矣 我未之見也

  (유능일일 용기력어인의호 아미견역부족자 개유지의 아미지견야)

  공자 말하길 나는 아직 인을 좋아하는 자와 불인을 미워하는 자를 보지 못하였다. 인을 좋아하는 자는 이()보다 더 좋은 것이 없고, 불인을 미워하는 자는 그가 인을 행할 적에 불인한 것으로 하여금 자기 몸에 가해지지 못하게 한다. 하루라도 그 힘을 인에 쓴 자가 있는가? 나는 (이렇게 하고서) 힘이 부족한 자를 아직 보지 못하였다.

 

子曰 人之過也 各於其黨 觀過 斯知仁矣(자왈 인지과야 각어기당 관과 사지인의)

  공자가 말하길 사람의 허물은 각각 그 부류가 있다. 그 허물을 살펴보면 그 어짐을 알 수 있다.

 

子曰 朝聞道 夕死可矣(자왈 조문도 석사가의)

  공자가 말하길 아침에 도를 들으면 저녁에 죽어도 좋다.”

 

子曰 士志於道 而恥惡衣惡食者 未足與議也(자왈 사지어도 이치악의악식자 미족여의야)

  공자왈 선비가 진리에 뜻을 두고서도 거침 음식과 허름한 옷을 부끄러워한다면 충분히 함께 의논할 만하지 못하다.”

 

子曰 君子之於天下也 無適也 無莫也 義之與比 (자왈 군자지어천하야 무적야 무막야 의지여비)

  공자가 말하길 군자는 세상에 있어서 해야 하는 것,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은 없고 의로운 것에 따를 뿐이다.”

 

子曰 君子懷德 小人懷土 君子懷刑 小人懷惠(자왈 군자회덕 소인회토 군자회형 소인회혜)

  공자 말하길 군자(위정자)가 덕을 마음에 품으면 소인(백성)은 땅을 마음에 품고 군자가 형벌을 마음에 품으면 소인은 은혜(은혜로운 곳)를 마음에 품는다.”

 

子曰 放於利而行 多怨(자왈 방어리이행 다원)

  공자가 말하길 이익만을 따라 행사면 원망이 많아진다.”

 

子曰 能以禮讓 爲國乎何有 不能以禮讓 爲國 如禮何 (자왈 능이예양 위국호하유 불능이예양 위국 여예하)

  공자가 말하길 예와 겸양으로 나라를 다스릴 수 있으면 무슨 걱정이 있을 것인가, 예와 겸양으로 나라를 다스릴 수 없으면 예 같은 것은 어디에 쓰겠는가?”

 

子曰 不患無位 患所以立 不患莫己知 求爲可知也 (자왈 불환무위 환소이립 불환막기지 구위가지야)

  공자가 말하길 지위가 없음을 근심하지 말고 지위를 맡을 자질이 없음을 근심하라, 자신을 알아주는 사람이 없음을 근심하지 말고 알아줄 만한 사람이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子曰參乎 吾道一以貫之 曾子曰唯 子出 門人問曰何謂也 曾子曰夫子之道 忠恕而已矣

  (자왈삼호 오도일이관지 증자왈유 자출 문인문왈하위야 증자왈부자지도 충서이이의)

  공자가 말씀하였다. “증삼아, 나의 도는 하나로 이어져 있다.” 증자(증삼)가 말하였다. “공자가 나가자 문인들이 물었다. “무슨 말씀이십니까?” 증자가 말하였다. “선생님의 도는 충성과 용서일 뿐입니다.”

 

子曰 君子喩於義 小人喩於利(자왈 군자유어의 소인유어리)

  공자 말하길 군자는 의에 민감하고 소인은 이익에 민감하다.”

 

子曰 見賢思齊焉 見不賢而內自省也(자왈 견현사제언 견불현이내자성야)

  공자 말하길 어진 이를 보면 그와 같이 되기를 생각하고 어질지 않은 이를 보면 안으로 스스로 성찰해야 한다.”

 

子曰 思父母 幾諫 見志不從 又敬不違 勞而不怨 (자왈 사부모 기간 견지부종 우경불위 노이불원)

  공자가 말하길 부모를 섬김은 간함은 완곡히 하고 내 뜻을 알고도 받아들이지 않으셔도 또한 공경하고 거스르지 말며 힘들더라도 원망하지 말아라.

 

子曰 父母在 不遠遊 遊必有方(자왈 부모재 불원유 유필유방)

  공자가 말하였다. “부모가 계시면 먼 곳에 가지 말고 먼 곳에 가면 반드시 방향을 밝혀라.”

 

子曰 三年 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자왈 삼년 무개어부지도 가위효의)

  공자가 말하길 삼 년 동안 아비의 도를 고치지 않으면 효성스럽다고 할 수 있다.”

 

子曰 父母之年 不可不知也 一則以喜 一則以懼 (자왈 부모지년 불가부지야 일즉이희 일즉이구)

  공자왈 "부모님의 나이를 몰라서는 안된다. 한편으로 (오래 사시니) 기쁘고 한편으로 (늙어가시니) 두렵기 때문이다."

 

子曰 古者 言之不出 恥躬之不逮也(자왈 고자 언지불출 치궁지불체야)

  공자가 말하길 옛사람이 말을 함부로 내지 않는다하였는데 실천이 말을 따르지 못하는 것을 부끄럽게 생각한 것이다.”

 

子曰 以約失之者 鮮矣(자왈 이약실지자 선의)

  공자가 말하길 절제함으로써 잃는 사람은 드물다.”

 

子曰 君子欲訥於言而敏於行(자왈 군자욕눌어언이민어행)

  공자가 말하길 군자는 말을 적게하고 행동에는 민첩하다.”

 

子曰 德不孤 必有隣(자왈 덕불고 필유린)

  공자가 말하길 덕이 있으면 외롭지 않다. 반드시 이웃이 있다.”

 

子遊曰 事君數 斯辱矣 朋友數 斯疏矣(자유왈 사군삭 사욕의 붕우삭 사소의)

  자유가 말하길 임금을 섬김에 (간언이) 잦으면 곤욕을 당하고 친구간에 (충고가) 잦으면 사이가 멀어진다.”

  * () : 잦다. 빈번하다.

'동양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雍也篇(옹야편)  (0) 2023.08.25
5. 公冶長篇(공야장편)  (0) 2023.08.22
3. 八佾篇(팔일편)  (0) 2023.08.04
2. 爲政篇(위정편)  (0) 2023.07.31
1. 學而篇(학이편)  (0) 2023.07.26

孔子謂季氏 八佾舞於庭 是可忍也 孰不可忍也 (공자위계씨 팔일무어정 시가인야 숙불가인야)

  공자가 계씨에 대해 말하였다. 팔일무를 뜰에서 추게 하니 이것을 참는다면 무엇인들 참지 못하겠는가? (천자가 아닌 대부인 계씨가 천자만 행할 수 있는 팔일무를 추게 한 것에 대한 비판)

 * 당시 예법은 천자 八佾舞(8×8=64), 제후 六佾舞(6×6=36), 대부 四佾舞(4×4=16) 이었음.

 

三家者以雍(삼가자이옹철) 子曰(자왈) 相維辟公 天子穆穆(상유벽공 천자목목)

  奚取於三家之堂(해취어삼가지당)

  세 대부의 집에서 천자의 제례인 으로써 마치니 공자가 말하길 “‘제후를 돕는 사람이 제후들이요 천자의 태도는 공손하다라는 노래를 하니 어찌 세 대부의 집에서 취할 수 있는 것이냐하였다.

 * 三家 : 당시 대부인 孟孫氏, 叔孫氏, 季孫氏

 * <雍> : 詩經 周頌의 편명인 <()>을 가리킴, 천자가 종묘에서 제사를 마치고 <>을 연주했다.

 * 相維辟公 天子穆穆 : <>의 제3·4

 

子曰 人而不仁 如禮何 人而不仁 如樂何(자왈 인이불인 여예하 인이불인 여악하)

  공자가 말하길 사람이 어질지 않은데 예는 배워서 무엇하랴?  사람이 어질지 않은데 음악은 배워서 무엇하랴?” 하였다.

 

林放 問禮之本 子曰 大哉問(임방 문예지본 자왈 대재문

  禮與其奢也 寧儉 喪與其易也 寧戚(예여기사야 영검 상여기이야 영척)

  임방이 예의 근본을 묻자 공자 말하길 크도다 질문이여! 예는 사치하기보다 차라리 검소한 것이고 상례는 (장례식을)잘 치르는 것보다 차라리 슬픔에 젖는 것이 낫다.” 하였다.

 * () : 다스리다, 돌보다. 여기서는 장례식을 차질 없이 치르는 것을 말함.

 

子曰 夷狄之有君 不如諸夏之亡(자왈 이적지유군 불여제하지무야)

  공자 말하길 오랑캐에 군주가 있는 것은 중원 여러 나라에서 군주가 없는 것과 다르다.”

 * 중원사람들이 주변지역을 폄하해서 부르는 말. 東夷 西戎 南蠻 北狄

 * 없다(無)라는 뜻으로 쓰일 때 亡(망) ‘무’로 읽힌다.

 

季氏 旅於泰山 子謂冉有曰 女弗能救與 對曰 不能 (계씨 여어태산 자위염유왈 여불능구여 대왈 불능)

  子曰 嗚呼 曾謂泰山 不如林放乎(자왈 오호 증위태산 불여임방호)

  계씨가 태산에서 여제(산신제)를 지냈다. 공자가 염유에게 네가 왜 구하지 못했는가?’일러 말하니 할 수 없습니다.’라고 대답하였다. 공자가 말하길 아아! 일찍이 태산은 임방과 같지 않다고 하였다.

 

子曰 君子無所爭 必也射乎 揖讓而升 下而飮 其爭也君子 (자왈 군자무소쟁 필야사호 읍양이승 하이음 기쟁야군자)

  공자가 말하길 군자는 겨룸이 없으니 (한다면) 반드시 활쏘기로 한다. 정중히 예를 다하고 활을 쏘러 오르며 끝나서는 (술을) 마신다. 이러한 것이 군자의 겨룸이다.

 

子夏問曰 巧笑倩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 何謂也 (자하문왈 교소천혜 미목반혜 소이위현혜 하위야)

 子曰 繪事 後素 曰 禮後乎 子曰 起予者 商也 始可與言詩已矣 (자왈 회사 후소 왈 예후호 자왈 기여자 상야 시가여언시이의)

  자하가 귀엽게 웃는 모습이 예쁘구나! 아름다운 두 눈이 초롱초롱하구나! 흰 바탕에 문채를 지었구나! 하고 한 것은 무엇을 말하는 것입니까?”하고 묻자. 공자께서 그림을 그리는 일은 흰 바탕을 먼저 마련해 놓고 난 뒤에 한다는 말이다.” 하셨다. 자하가 예가 나중이라는 것입니까?” 하자, 공자가 말하길 나를 일깨워주는 사람은 상이로구나. 비로소 그와 함께 시를 이야기할 수 있게 되었다.”

 * 巧笑倩兮 美目盼兮 : 美人(미인)을 형용하는 () 구절. 출전 詩經(시경) 衛風(위풍) 碩人篇(석인편) 2장 제6·7

 

子曰 夏禮 吾能言之 杞不足徵也 殷禮 吾能言之 宋不足徵也 (자왈 하례 오능언지 기부족징야 은례 오능언지 송부족징야)

  文獻 不足故也 足則吾能徵之矣(문헌 부족고야 족즉오능징지의)

  공자가 말하길 하나라의 예법은 내가 능히 말할 수 있으나 <하나라의 후예인> 기나라에서 충분히 증명하지 못하며, 은나라의 예법은 내가 능히 말할 수 있으나 <은나라의 후예인> 송나라에서 충분히 증명하지 못한다.”

 

子曰 禘自旣灌而往者 吾不欲觀之矣(자왈 체자기관이왕자 오불욕관지의)

  공자가 말하길 체 제사는 울창주(鬱鬯酒)를 따라 降神한 뒤부터 나는 보고 싶지 않다.”

 * () : 제사하는 초기에 울창주를 땅에 부어 신을 강림하게 하는 것

 

或 問禘之說 子曰 不知也 知其說者之於天下也. (혹 문체지설 자왈 부지야 지기설자지어천하야.)

  其如示諸斯乎 指其掌(기여시저사호 지기장)

  어떤이가 체 제사에 대해 말해달라고 하니 공자는 모른다고 하였다. “그것을 아는 사람이 있다면 천하를 여기에 올려놓고 보는 것과 같다.” 하시고 그 손바닥을 가리켰다.

 

祭如在 祭神如神在 子曰 吾不與祭 如不祭(제여재 제신여신재 자왈 오불여제 여불제)

  제사를 지냄에 (조상이) 계신듯하고 신에게 제사를 지냄에 신이 계신듯하다.

  공자는 내가 제사에 참여하지 않으면 제사를 지내지 않는 것과 같다.”라고 하셨다.

 

王孫賈問曰 與其媚於奧 寧媚於竈 何爲也(왕손가문왈 여기미어오 영미어조 하위야)

  子曰 不然 獲罪於天 無所禱也(자왈 불연 획죄어천 무소도야)

  왕손가가 물었다. “‘아랫목에(앉아 있는 어른) 아첨하기보다 차라리 부뚜막에(일하는 사람) 아첨하는 것이 낫다고 하는데 그것은 무슨 말입니까?” 공자 말하길 그렇지 않습니다. 하늘에 죄를 지으면 용서를 빌곳이 없습니다.” 하였다.

 

子曰 周監於二代 郁郁乎文哉 吾從周(자왈 주감어이대 욱욱호문재 오종주)

  공자 말하길 주나라는 ·이대를 본받았으니 그 문화가 찬란하다. 나는 주나라를 따를 것이다.”

 

子入太廟 每事問 或曰 孰謂鄒人之子知禮乎(자입태묘 매사문 혹왈 숙위추인지자지례호)

  入太廟 每事問 子聞之曰 是禮也(입태묘 매사문 자문지왈 시례야)

  공자가 태묘에 들어가 제사를 도울 때 일일이 물었다. 어떤 이가 누가 추나라 출신의 자식이 예를 아는 사람이라고 하였는가? 태묘에 들어가서 일일이 묻는구나.” 말하였다. 공자가 그것을 듣고 이렇게 하는 것이 예이다하였다.

 * 鄒人 : 공자의 아버지 숙량흘(叔梁紇)을 말함. 의 대부를 지냈고 태어난 곳도 鄒邑.

 

子曰 射不主皮 爲力不同科 古之道也(자왈 사부주피 위력부동과 고지도야)

  공자가 말하길 활쏘기가 과녁의 가죽을 뚫는 것을 주로 하지 않음은 (사람마다) 힘이 같지 않기 때문이니 옛 활쏘기의 도리이다.”

 

子貢 欲去告朔之餼羊 子曰 賜也 爾愛其羊 我愛其禮 (자공 욕거고삭지희양 자왈 사야 이애기양 아애기예)

  자공이 매월 초하루 제사에 양을 바치는 것을 없애려고 하자, 공자가 사야, 너는 그 양을 아끼는구나, 나는 그 예를 아낀다.” 하였다.

 

子曰 事君盡禮 人 以爲諂也(자왈 사군진례 인 이위첨야)

  공자가 말하길 임금 섬기는 예를 다하는데 사람들이 아첨한다고 여기는구나

 

定公問 君事臣 臣事君 如之何(정공문 군사신 신사군 여지하)

  孔子對曰 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공자대왈 군사신이례 신사군이충)

  ()정공이 임금은 신하를 어떻게 대하고 신하는 임금을 어떻게 대해야 하겠습니까?”고 물었다. 공자가 대답하여 말하길 임금은 신하를 예로써 대하고 신하는 임금을 충으로써 대해야 할 것입니다.” 하였다.

 

子曰 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자왈 관저 낙이불음 애이불상)

  공자가 말하길 시경의 <관저>편에서 즐겁되 음란하지 않고, 슬프지만 마음을 상하는데 이르지는 않는다.” 하였다.

 

哀公 問社於宰我 宰我對曰 夏后氏 以松 殷人 以栢 周人 以栗 曰 使民戰栗

  (애공 문사어재아 재아대왈 하후씨 이송 은인 이백 주인 이율 왈 사민전율)

  子聞之 曰 成事不說 遂事不諫 旣往不咎(자문지 왈 성사불설 수사불간 기왕불구)

  ()애공이 재아에게 에 대하여 물었다. 재아가 답하길 하나라는 소나무를 심었고 은나라 사람은 잣나무를 심었고 주나라 사람은 밤나무를 심었습니다. 백성들을 두려워하게 함을 말하는 것입니다.”(나무를 심어 神主로 사용했다.) 공자가 그것을 듣고 말하되 이미 끝난 일을 들추어 말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돌이킬 수 없는 일은 충고하는 것이 아니고, 이미 지나간 일을 탓하는 것이 아니다.” 하였다.

 * 夏后氏 : 나라의 다른 이름

 

子曰 管仲之器小哉 或曰 管仲 儉乎(자왈 관중지기소재 혹왈 관중 검호)

   曰 管氏有三歸 官事不攝 焉得儉(왈 관씨유삼귀 관사불섭 언득검)

   然則管仲 知禮乎 曰 邦君 樹塞門(연즉관중 지례호 왈 방군 수색문)

   管氏亦樹塞門 邦君 爲兩君之好 有反坫(관씨역수색문 방군 위양군지호 유반점)

   管氏亦有反坫 管氏而知禮 孰不知禮(관씨역유반점 관씨이지례 숙불지례)

   공자 말하길 관중의 그릇이 작구나어떤이가 관중이 검소하다는 것입니까?” 물었다. 답하길 관중은 삼귀를 두었으며 가신의 일을 겸직시키지 않았으니 어찌 검소하다고 할 수 있겠는가?”, “그러면 관중은 예를 아는 사람입니까?” 묻자, 공자 답하길 나라의 임금이어야 나무틀로 문을 가리는데 관중도 역시 나무틀로 문을 가렸으며 임금이어야 두 임금이 우호로 만날 때 반점(反坫 술잔을 되돌려 놓는 자리)을 두는데 관중도 반점을 두었으니 관중이 예를 안다면 누가 예를 모르겠는가?” 하였다.

 * 三歸(삼귀)’()의 이름이니, 이에 대한 일이 說苑(설원)에 보인다.

 

子語魯大師樂曰 樂 其可知也 始作 翕如也.(자어노대사악왈 악 기가지야 시작 흡여야.)

  從之 純如也 曒如也 繹如也 以成(종지 순여야 교여야 역여야 이성)

  공자가 노나라 태사에게 음악을 말하길 음악은 알 수 있으니 시작하면 음을 합하고 풀어놓고 조화를 이루며 분명하며 연속되어서 한 장을 끝내야 한다.”

 * 太師 : 樂官의 명칭

 

儀封人 請見曰 君子之至於斯也 吾未嘗不得見也 (의봉인 청현왈 군자지지어사야 오미상불득현야)

  從者見之 出曰 二三子 何患於喪乎(종자현지 출왈 이삼자 하환어상호)

  天下之無道也久矣 天將以夫子 爲木鐸(천하지무도야구의 천장이부자 위목탁)

  의(儀邑)땅의 봉인(국경을 관장하는 관원)이 뵙기를 청하며 군자가 이곳에 오시면 나는 일찍이 만나지 않은 적이 없었다.” 하자 종자(공자의 수행원)가 뵙게 해주자 나와 말하길 당신들은 어찌 (벼슬) 잃음을 걱정하는가? 천하의 도가 없음이 오래되었는데 하늘이 장차 공자로 하여금 목탁으로 삼으실 것이다.” 하였다.

 

子謂韶 盡美矣 又盡善也 謂武 盡美矣 未盡善也 (자위소 진미의 우진선야 위무 진미의 미진선야)

  공자가 소악(韶樂)을 평하시되 지극히 아름답고 지극히 좋다.” 하시고 무악(武樂)을 평하시되 지극히 아름답지만 지극히 좋지는 않다.” 하셨다.

 * : 임금의 음악,  : 周 武王의 음악

 

子曰 居上不寬 爲禮不敬 臨喪不哀 吾何以觀之哉 (자왈 거상불관 위례불경 임상불애 오하이관지재)

  공자가 말씀하시길 윗자리에 있으면서 너그럽지 않으며 예를 행하되 공손하지 않고 상례에 임하여 슬퍼하지 않는다면 내가 어떻게 그것을 볼 수 있겠는가?” 하였다.

 

'동양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雍也篇(옹야편)  (0) 2023.08.25
5. 公冶長篇(공야장편)  (0) 2023.08.22
4. 里仁篇(이인편)  (0) 2023.08.06
2. 爲政篇(위정편)  (0) 2023.07.31
1. 學而篇(학이편)  (0) 2023.07.26

子曰 爲政以德(위정이덕) 譬如北辰居其所(비여북진거기소) 而衆星共之(이중성공지)

  공자가 말씀하시길 정치는 덕으로써 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북극성이 그 자리를 잡으면 별무리들이 북극성을 둘러싸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子曰 詩三百 一言以蔽之曰 思無邪(시삼백 일언이폐지왈 사무사)

  공자왈 시삼백편을 한마디 말로 한다면 생각에 사특함이 없는 것’”이라 하셨다.

 

子曰 道之以政 齊之以刑 民免而無恥(도지이정 제지이형 민면이무치)

  道之以德 齊之以禮 有恥且格(도지이덕 제지이례 유치차격)

  공자왈 정치권력으로써 백성을 이끌고 형벌로써 다스리면 백성은 벗어나고자만 하고 부끄러움을 모른다. 덕으로써 백성을 이끌고 예로써 다스리면 백성들이 부끄러움을 알고 또한 격식을 차린다.”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오십유오이지우학) 三十而立(삼십이립) 四十而不惑(사십이불혹)

  五十而知天命(오십이지천명) 六十而耳順(육십이이순 七十而從心所欲不踰矩(칠십이종심소욕불유구)

공자왈 내가 열다섯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삼십에 뜻을 세웠고 사십에는 미혹함이 없었고 오십에 천명을 알았으며 육십에는 듣는 것이 모두 이해가 되었으며 칠십에는 마음이 하고 싶은 대로 하여도 도를 넘어서지 않았다.”

 

孟懿子問孝(맹의자문효) 子曰(자왈) 無違(무위) 樊遲御(번지어) 子告之曰(자고지왈)

  孟孫問孝於我(맹손문효어아) 我對曰(아대왈) 無違(무위) 樊遲曰(번지왈) 何謂也(하위야)

  子曰(자왈) 生事之以禮(생사지이례) 死葬之以禮(사장지이례) 祭之以禮(제지이례)

  맹의자가 효에 대해 물으니 공자 말씀하시길 어긋남이 없어야 한다.” 번지가 공자의 수레를 몰고 있는데 공자가 그에게 말하길 맹손이 나에게 효에 대해 물었다. 내가 답하길 어긋남이 없어야 한다.’ 하였다.” 번지가 말하길 무슨 말씀이십니까?” 공자가 말하길 부모님 살아계실 때 예를 다해 섬기고 돌아가시면 예를 다해 장사를 지내고 제사를 지낼 때도 예를 다하라

 

孟武伯 問孝 子曰 父母 唯其疾之憂(맹무백 문효 자왈 부모 유기질지우)

  맹무백이 효에 대해 물으니 공자 말하길 부모는 오직 자식이 병들까만을 근심한다.”

 

子游問孝 子曰 今之孝者 是謂能養 至於犬馬 皆能有養 不敬 何以別乎

   (자유문효 자왈 금지효자 시위능양 지어견마 개능유양 불경 하이별호)

  자유가 효에 대해 물으니 공자 말하길 요즘의 효는 봉양하는 것만을 말하는데 개나 말도 모두 봉양할 수 있으니 공경하는 것이 없다면 어찌 구별할 수 있겠는가?”

 

子夏問孝 子曰 色難 有事 弟子服其勞 有酒食 先生饌 曾是以爲孝乎

  (자하문효 자왈 색난 유사 제자복기노 유주식 선생찬 증시이위효호)

  자하가 효에 대해 물으니 공자 말하길 얼굴빛을 환하게 함은 어려운 일이다. 무슨 일이 있으면 젊은이가 그 수고를 하고 술과 음식이 생기면 연장자에게 대접하는 것을 효도라고 할 수 있겠는가?” 하였다.

 

子曰 吾與回 言終日 不違如愚 退而省其私 亦足以發 回也不愚

   (자왈 오여회 언종일 불위여우 퇴이성기사 역족이발 회야불우)

  공자가 말씀하시길 내가 안회와 함께 종일토록 말을 하는데 내 말에 다른 의견이 없어 어리석은 것인가 하였는데 돌아간 뒤 그의 사사로운 생활을 보니 역시 내가 말한 대로 충분히 행동하고 있으니 안회는 어리석은 것이 아니다.” 하였다.

 

子曰 視其所以 觀其所由 察其所安 人焉瘦哉 人焉瘦哉 (자왈 시기소이 관기소유 찰기소안 인언수재 인언수재)

  공자가 말씀하시길 그 사람의 하는 모습을 보고 그 사람이 따르는 바를 보며 그 사람이 무엇에서 편안하게 느끼는 바를 살펴본다면 사람들이 어찌 감출 수 있겠는가? 사람들이 어찌 감출 수 있겠는가?” 하였다.

 

子曰 溫故而知新 可以爲師矣(자왈 온고이지신 가이위사의)

  공자가 말씀하시길 옛것을 익히고 새로운 것을 알면 스승이 될 만하다.” 하였다.

 

子曰 君子 不器(자왈 군자 불기)

  공자왈 군자는 그릇이 되어서는 안된다.(제한된 곳에서만 쓰여서는 안된다.)

 

子貢問君子 子曰 先行其言而後從之(자공문군자 자왈 선행기언이후종지)

  자공이 군자에 대해 물으니 공자 말하길 먼저 행하고 말은 뒤에 따르게 하라하였다.

 

子曰 君子 周而不比 小人 比而不周(자왈 군자 주이불비 소인 비이불주)

  공자가 말하길 군자는 원만하고 비교하지 않고 소인은 비교하고 원만하지 못한 것이다

 

子曰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자왈 학이불사즉망 사이불학즉태)

  공자가 말하길 배우고도 깊이 생각하지 않으면 갖혀 있게 되고, 생각만 하고 배우지 않으면 위태로워진다.” 하였다.

 

子曰 攻乎異端 斯害也已(자왈 공호이단 사해야이)

  공자가 말하길 이단을 공부하는 것은 해로울 뿐이다.”

 

子曰 由 誨女知之乎 知之爲知之 不知爲不之 是知也 (자왈 유 회여지지호 지지위지지 부지위부지 시지야)

  공자가 말씀하시길 유(자로)야 너에게 안다는 것이 무엇인지 가르쳐 주겠다. 아는 것을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을 모른다고 하는 것이 바로 다는 것이다.

 

子張學干祿 子曰 多聞闕疑 愼言其餘則寡尤(자장학간록 자왈 다문궐의 신언기여즉과우)

  多見闕殆 愼行其餘則寡悔(다견궐태 신행기여즉과회)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언과우 행과회 녹재기중의)

  자장이 녹봉 구하는 것을 배우고자 하니 공자 말씀하시길 많이 들어서 의심을 버리고 그 남은 것을 삼가서 말하면 허물이 적으며 많이 보아서 위태로움을 버리고 그 남은 것을 삼가서 행사면 뉘우침이 적을 것이니 말에 허물이 적으면 행함에 뉘우침이 적으면 녹봉은 그 가운데 있는 것이다.” 하였다.

 

哀公問曰(애공문왈) 何爲則民服(하위즉민복) 孔子對曰(공자대왈)

  擧直錯諸枉 則民服(거직착저왕 즉민복) 擧枉錯諸直 則民不服(거왕착저직 즉민불복)

  애공이 물기를 어찌하면 백성이 복종하겠습니까? 공자가 대답하길 올바른 사람을 등용해서 굽은 사람을 바로잡으면 백성들이 복종하고 굽은 사람을 등용해서 곧은 사람 위에 쓰면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습니다.”

 

季康子問(계강자문) 使民敬忠以勸 如之何(사민경충이권 여지하)

  子曰(자왈) 臨之以莊則敬(임지이장즉경) 孝慈則忠(효자즉충) 擧善而敎不能則勸(거선이교불능즉권)

  계강자가 물었다. “백성들이 윗사람을 공경하고 나라에 충성하게 하려면 어찌해야 합니까?” 공자가 말씀하시길 군주가 백성을 정중하게 대하면 윗사람을 공경할 것이고 군주가 효도하고 자애로운 모습을 보이면 백성들이 충성할 것이요 올바른 사람을 등용하여 능력이 없는 자를 교화하면 백성들이 권면할 것이다.”

 

或謂孔子曰(혹위공자왈) 子奚不爲政(자해불위정)

  子曰(자왈) 書云(서운) 孝乎 惟孝 友于兄弟 施於有政(효호 유효 우우형제 시어유정)

  是亦爲政(시역위정) 奚其爲爲政(해기위위정)

  어떤이가 공자께 물었다. “당신은 어찌 정치를 하지 않습니까?” 공자 말하길 서경에 효에 대해 이르길 부모에 효성스럽고 형제간 우애가 있으면 정치에 보탬이 된다고 하니 이렇게 하는 것도 정치를 하는 것인데 어찌 (관직에 나아가) 정치를 하는 것만 정치를 하는 것이겠습니까?” 하였다.

 

子曰 人而無信 不知其可也(자왈 인이무신부지기가야)

  大車無輗 小車無軏 其何以行之哉(대거무예 소거무월 기하이행지재)

  공자가 말하였다. “사람이 신의가 없다면 그가 할 수 있는가를 알지 못한다.

  큰 수레의 끌채가 없고 작은 수레의 끌채가 없으면 어찌 수레를 운행할 수 있겠는가?”

 

子張問 十世 可知也(자장문 십세 가지야)  子曰 殷因於夏禮 所損益 可知也(자왈 은인어하례 소손익 가지야)

   周因於殷禮 所損益 可知也(주인어은례 소손익 가지야) 其或繼周者 雖百世 可知也(기혹계주자 수백세 가지야)

  자장이 물었다. “열 세대 후의 일을 알 수 있습니까?” 공자 말하길 은이 하나라의 예법을 계승한 이래 더하고 덜한 것은 알 수 있다. 주가 은나라의 예법을 이었는데 더하고 덜한 것은 알만하다. 혹시 주나라를 계승하는 나라가 있다면 백세라도 말만하다.” 하였다.

 

子曰 非其鬼而祭之 諂也 見義不爲 無勇也(자왈 비기귀이제지 첨야 견의불위 무용야)

  공자가 말하길 “(자신과 관계없는) 귀신(대상)에게 제사를 지내는 것은 아첨을 하는 것이요 의를 보고도 하지 못하는 것은 용기가 없는 것이다.” 하였다.

 

 

'동양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雍也篇(옹야편)  (0) 2023.08.25
5. 公冶長篇(공야장편)  (0) 2023.08.22
4. 里仁篇(이인편)  (0) 2023.08.06
3. 八佾篇(팔일편)  (0) 2023.08.04
1. 學而篇(학이편)  (0) 2023.07.26

돌봄서비스 지원사업 홍보물(230914).pdf
0.68MB

수원시 팔달구에서 진행하는 취약가구 반려동물 돌봄지원사업 안내입니다.

 

子曰 學而時習之(학이시습지)不亦說乎(불역열호)?

   有朋自遠方來(유붕자원방래) 不亦樂乎(불역락호)아?

   人不知而不慍(인부지이불온)이면 不亦君子乎(불역군자호)아?

   공자가 말씀하시길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벗이 있어 멀리서부터 찾아오면 또한 즐겁지 아니한가?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아도 성내지 아니하면 또한 군자가 아니겠는가?

 

有子曰其爲人也孝弟而好犯上者鮮矣(유자왈기위인야효제이호범상자선의)

   不好犯上而好作亂者未之有也(불호범상이호작난자미지유야)

   君子務本本立而道生孝弟也者其爲仁之本與(군자무본본립이도생효제야자기위인지본여)

   유자가 말하길 그 사람됨이 효성스럽고 공손한데도

   윗사람을 침범하는 것을 좋아하는 사람은 드물다.

   윗사람을 범하기를 좋아하지 않으면서 난을 만들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아직 있지 않았다.

   군자는 근본에 힘써야 하니 근본이 바로 서야 도가 생기는 것이다 효도와 공손은 인을 만드는 근본이다.

 

子曰 巧言令色鮮矣仁(교언영색선의인)

   공자왈 교묘하게 말을 잘 꾸미고 낯빛을 보기 좋게 꾸미는 사람 중 어진 이는 드물다.”

 

曾子曰(증자왈) 吾日三省吾身爲人謨而不忠乎(오일삼성오신위인모이불충호)

   與朋友交而不信乎(여붕우교이불신호) 傳不習乎(전불습호)

   증자왈 나는 하루 세가지로 반성한다. 남을 위해 일을 도모함에 충실하지 않았는가?

   친구와 사귐에 신의가 없지 않았는가? 스승에게 배운 것을 열심히 익히지 않았는가?”

 

子曰 道千乘之國 敬事而信 節用而愛人 使民以時(도천승지국경사이신절용이애인사민이시)

   공자왈 천승의 나라를 다스리는 데는 업무를 공손히 하고 신의를 지킬 것이며

   절약하고 사람들을 사랑하고 백성을 부리는 것은 때에 맞게 하라하셨다.

 

子曰 弟子入則孝 出則弟 謹而信 汎愛衆 而親仁 行有餘力 則以學文

   (제자입즉효 출즉제 근이신 범애중 이친인 행유여력 즉이학문)

   공자왈 젊은이는 집에서는 효도하고 집밖에 나가서는 위사람을 공경하고 행동을 삼가고

   믿덥게 하며 널리 사람들을 사랑하고 어진이와 친하게 지내고 행하고 남은 힘이 있거든  글을 배울지니라

 

子夏曰(자하왈) 賢賢易色(현현이색) 事父母 能竭其力(사부모 능갈기력)

   事君 能致其身(사군 능치기신) 與朋友交 言而有信(여붕우교 언이유신)

   雖曰未學 吾必謂之學矣(수왈미학 오필위지학의)

   * 賢賢易色 : 독음에 현현이색, 현현역색두 가지 주장이 있다.

   자하가 말하길 어진 사람을 어질게 대하며 용모에 집착하지 않고,

   부모를 섬김에 그 힘을 다하고, 임금 섬기기에 그 몸을 버리고,

   친구와 사귐에는 말에 믿음이 있으면 비록 그가 배우지 않았더라도 나는 반드시 배웠다고 말할 것이다.”

 

子曰 君子不重則不威 學則不固(군자부중즉불위 학즉불고)

   主忠信 無友不如己者 過則勿憚改(주충신 무우불여기자 과즉물탄개)

   공자왈 군자는 언행이 무겁지 않으면 곧 위엄이 없으니 배워도 굳건하지 못할 것이고,

   성심과 믿음을 주로 해야 하며, 자기보다 못한 사람을 벗으로 삼지 말고, 잘못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아야 한다.”

 

曾子曰(증자왈) 愼終追遠 民德 歸厚矣(신종추원 민덕 귀후의)

   증자왈 상례를 신중히 하고 제사를 정성껏 모시면 백성의 덕이 두터워질 것이다.”

 

子禽 問於子貢曰 夫子 至於是邦也 必聞其政 求之與 抑與之與

   (자금 문어공자왈 부자 지어시방야 필문기정 구지여 억여지여)

   子貢曰(자공왈) 夫子 溫良恭儉讓以得之(부자 온양공검양이득지)

   夫子之求之也(부자지구지야) 其諸異乎人之求之與(기저이호인지구지여)

   자금이 자공에게 물어 가로되 공자께서는 어느 곳에 이르던 반드시 정사를 들으셨는데

   스스로 구하신 것입니까? 아니면 상대가 요청한 것입니까?”

   자공이 말하길 선생님은 온순하고 선량하며 공손하고 검소하고 겸양하시기 때문에

   정사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이니 선생님께서 그것을 구하셨다고 해도

   그 방도는  세상 사람들이 구하는 것과는 다른 것이다.”

 

子曰 父在 觀其志(부재 관기지) 父沒 觀其行(부몰 관기행)

   三年 無改於父之道 可謂孝矣(삼년 무개어부지도 가위효의)

   공자왈 아버지 살아실제 그 뜻을 살피고 아버지 돌아가시면 그 행적을 살필 것이니

   삼년동안 아버지의 도를 고치지 않아야 효자라고 할 것이다.”

 

有子曰(유자왈) 禮之用(예지용) 和爲貴(화위귀) 先王之道斯爲美(선왕지도사위미)

   小大由之(소대유지) 有所不行(유소불행) 知和而和(지화이화) 不以禮節之(불이예절지) 亦不可行也(역불가행야)

   유자가 말하길 예절의 쓰임에는 화합을 귀하게 여긴다. 선왕의 도 역시 이것을 아름답게

   여겼다. 작고 큰 것이 모두 여기에서 나왔다. 행해지지 않는 것도 있으니 화합만을 알고

   화합을 하지만 그것을 예로써 절제하지 않으면 역시 행하지 못하는 것이다.”

 

有子曰(유자왈) 信近於義(신근어의) 言可復也(언가복야) 恭近於禮(공근어례)

   遠恥辱也(원치욕야) 因不失其親(인불실기친) 亦可宗也(역가종야)

   유자가 말하길 믿음이 예에 가까우면 말을 실천할 수 있고 공손이 예에 가까우면 치욕을 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그 친근함을 잃지 않으면 또한 존경할 수 있을 것이다.”

 

子曰 君子食無求飽(군자식무구포) 居無求安(거무구안) 敏於事而愼於言(민어사이신어언)

   就有道而正焉(취유도이정언) 可謂好學也已(가위호학야이)

   공자가 말씀하시길 군자는 먹음에 배부름을 구하지 말고 거처하는데 편안한 것을 구하지 말며 일에는 민첩하고

   말에는 신중하며 도가 있는 곳에 나아가 자신의 잘못을 바로잡는다면 배움을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子貢曰(자공왈) 貧而無諂(빈이무첨) 富而無驕(부이무교) 何如(하여)

   子曰(자왈) 可也(가야) 未若貧而樂道(미약빈이락도) 富而好禮者也(부이호례자야)

   子貢曰(자공왈) 詩云(시운) 如切如磋如琢如磨(여절여차여탁여마) 其斯之謂與(기사지위여)

   子曰(자왈) 賜也(사야) 始可與言詩已矣(시가여언시이의) 告諸往而知來者(고저왕이지래자)

   자공이 말하길 가난해도 아첨하지 않고 부유해도 교만하지 않는다면 어떻습니까?”

   공자왈 괜찮지만,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기고 부유하면서 예를 좋아하는 것만은 못하다.”

   자공이 묻길 시경에 절차탁마란 말은 이를 두고 한 것입니까?”

   공자왈 비로소 너와 함께 시를 말할 수 있겠다. 지난 일을 말하니 앞일까지 아는구나

 

子曰 不患人之不己知(불환인지불기지) 患不知人也(환부지인야)

   공자왈 다른 사람이 나를 몰라주는 것은 걱정하지 않는다. 내가 걱정하는 것은 다른 사람을 몰라주는 것이다.”

 

 
 

'동양고전 > 논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6. 雍也篇(옹야편)  (0) 2023.08.25
5. 公冶長篇(공야장편)  (0) 2023.08.22
4. 里仁篇(이인편)  (0) 2023.08.06
3. 八佾篇(팔일편)  (0) 2023.08.04
2. 爲政篇(위정편)  (0) 2023.07.31

朱子曰(주자왈) 勿謂今日不學而有來日(물위금일불학이유래일)하며 勿謂今年不學而有來年(물위금년불학이유래년)日月逝矣(일월서의)歲不我延(세불아연)嗚呼老矣(오호노의)是誰之愆(시수지건)인가

  주자가 말하기를 오늘 배우지 않고 내일이 있다고 말하지 말며, 금년에 배우지 않고 내년이 있다고 말하지 말라. 해와 달은 가니 세월은 나를 기다려 주지 않는다. ‘! 늙었구나라고 탄식하면 이 누구의 허물인가?”라고 하였다.

 

少年易老學難成(소년이노학난성)하니 一寸光陰不可輕(일촌광음불가경)이라 未覺池塘春草夢(미각지당춘초몽)하여 階前梧葉已秋聲(계전오엽이추성)이라

  소년은 늙기 쉽고 학문은 이루기 어려우니, 짧은 시간이라도 가벼이 여기지 말라. 못 가의 봄 풀은 꿈에서 아직 깨지 못했건만, 섬돌 앞의 오동나무는 벌써 가을 소리를 내는구나.

 

陶淵明詩云(도연명시운) 盛年(성년)不重來(불중래)하고 一日(일일)難再晨(난재신)이니 及時當勉勵(급시당면려)하라 歲月(세월)不待人(불대인)이니라

  도연명 시에 젊은 나이는 다시 오지 않고 하루에 새벽은 다시 오지 않는다. 때에 맞춰 열심히 하여라. 세월은 사람은 기다리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陶淵明(도연명) 雜詩 其一


人生無根蒂(인생무근체), 飄如陌上塵(표여맥상진)
分散逐風轉(분산축풍전), 此似非常身(차이비상신)
落地爲兄弟(낙지위형제), 何必骨肉親(하필골육친)
得懽當作樂(득환당작락), 斗酒聚比鄰(두주취비린)
盛年不重來(성년부중래), 一日難再晨(일일난재신)
及時當勉勵(급시당면려), 歲月不待人(세월부대인)
인생은 초목처럼 뿌리가 없어 떠도는 거리의 먼지처럼 날아다니고,
바람 따라 흩어져 뒹구니 이 몸은 이미 정상(正常)이 아니구나.
이 땅의 모든 사람이 다 형제리니 어찌 골육만 친척이리오?
마음에 기쁘면 마땅히 노래 짓고 말 술로 이웃을 모을지라도,
젊은 시절은 거듭 오지 않고 하루에 새벽은 두 번 오지 않나니
때에 이르러 마땅히 부지런하라. 세월은 사람을 기다리지 않는다.

荀子曰(순자왈) 不積蹞步(불적규보)無以至千里(무이지천리)不積小流(불적소류)無以成江河(무이성강하)니라

  순자가 말하길 반걸음을 쌓지 않으면 천 리에 이르지 못하고, 작은 물이 모이지 않으면 강하江河를 이루지 못한다.” 하였다.

 

朱文公(주문공)曰 家若貧(가약빈)이라도 不可因貧而廢學(불가인빈이폐학)이요 家若富(가약부)라도 不可恃富而怠學(불가시부이태학)이니라.

  집이 가난해도 배우지 않아서는 안되고 집이 부유해도 이를 믿고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

 

貧若勤學(빈약근학)이면 可以立身(가이입신)이요 富若勤學(부약근학)이면 名乃光榮(명내광영)하리니 惟見學者顯達(유견학자현달)이요 不見學者無成(불견학자무성)이니라.

  가난해도 부지런히 배우면 뜻을 펼 수가 있고 부유해도 부지런히 배우면 명성을 떨칠 수가 있다. 오로지 배워야 세상에 드러날 수 있음을 이미 보았고 배운 사람이 이루지 못할 것이 없나니라.

 

學者(학자)乃身之寶(내신지보)學者(학자)乃世之珍(내세지진)이니라.

  배움이란 사람의 보배요 배운 사람은 세상의 보배로다.

 

是故(시고)學則乃爲君子(학즉내위군자)不學則爲小人(불학즉위소인)이니 後之學者(후지학자)宜各勉之(의각면지)니라.

  이렇기 때문에 배우면 군자에 이르고 배우지 않으면 소인이 된다. 후세에 배울 사람들은 마땅히 근면하게 배워야 한다.

 

 

'동양고전 > 명심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 廉義篇(염의편)  (0) 2023.07.17
21. 八反篇(팔반편, 八反歌八首)  (0) 2023.07.15
20. 增補篇(증보편)  (0) 2023.07.14
19. 婦行篇(부행편)  (0) 2023.07.13
18. 交友篇(교우편)  (0) 2023.07.12

+ Recent posts